“필자에게 대체 그런 정보는 어디서 얻는 거야?”라고 묻는 지인이 많은데 내가 얻는 정보의 20% 이상은 트위터다. 개인적으로 신뢰하는 트위터 친구의(팔로잉) 정보나 친구가 추천(리트윗)해주는 정보 또는 ‘트위터 검색’을 통해서 얻기도 한다. 그래서 지인들에게 트위터 ‘리스트 기능’과 ‘트윗덱(Tweet Deck)’ 서비스를 소개해주곤 하지만 이게 어디 1~2분으로 될 이야기인가?
그래서 준비했다! 트위터 활용 1탄: 트윗덱 사용법 ! 트위터를 시간 낭비가 아닌 ‘세상에서 가장 빠른 맞춤형 정보 배달 서비스’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1. 트위터 리스트 활용하기
트위터 계정의 팔로잉 숫자가 높아지면 ‘타임라인(Timeline)’에 폭포수처럼 흘러내려 오는 트윗(Tweet)을 감당하기 어렵다. (‘타임라인’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서 유저 자신 및 친구들의 글을 모아서 보여주는 부분으로 페이스북의 뉴스피드와 비슷한 개념이다. ‘트윗’은 트위터에 올리는 140자 이하의 글을 뜻한다) 팔로잉이 500명, 1000명, 많게는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은 쏟아지는 타임라인의 트윗을 어떻게 관리하는 것일까?
다행히 트위터는 이런 문제점을 초기부터 인식하고 있었고 ‘리스트’ 기능을 제공하여 이를 해결했다. 예를 들어 [언론사]라는 리스트를 만들고 좋아하는 언론사 트윗 계정들을 [언론사]에 추가시키면, 복잡한 타임라인에서 언론사 트윗을 놓쳤다 하더라도 [언론사]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내가 만든 리스트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이 만들어놓은 (공개) 리스트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원한다면 다른 사람의 리스트를 구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 트위터 리스트 만들기와 리스트에 친구 추가하기 (http://twitter.com)

▲ 다른 사람의 리스트를 보거나 구독할 수 있다 (http://twitter.com)
사실 트위터의 리스트 기능은 일반적인 사용자보다는 팔로잉수도 많고 트위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사람(Power User)들을 위한 기능이다. 즉, 메인 기능이 아닌 부가적인 기능이다.(심지어 스마트폰용 공식 트위터 어플리케이션에는 리스트를 만들거나 리스트에 추가하는 기능이 빠져있다) 그렇기 때문에 트위터 웹 사이트에서 리스트를 만들고 누군가를 리스트에 추가하고, 또 리스트를 골라보는 과정은 정말 복잡하다. 위의 과정만 봐도 복잡하지 않는가? 트위터를 사용하기 시작한지 몇 년이 지났지만 웹사이트에서 리스트를 확인하는 것은 정말이지 불편하다.
좀 더 쉽게 리스트를 관리할 수 없을까? 또 여러개의 리스트를 한 눈에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디 그런 서비스 없을까?
2. 트위터 트윗덱 (Twitter Tweetdeck)
“트윗덱으로 정렬하라!”
- 트윗덱(Tweet Deck)
- 개발자 아인 도즈워스
- 서비스 런칭 2008년
- 2011년 중순~말 트위터에 인수 됨
트윗덱은 이런 파워유저들의 아쉬움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앱·응용 프로그램)이다. 트윗덱을 사용하면 자신이 만들거나 구독한 리스트, 타임라인, 맨션, 메시지, 검색, 즐겨찾기 등을 [칼럼]으로 만들고 한눈에 볼 수 있다. 참고로 트윗덱은 트위터에서 만든 것이 아니다. 이안 도즈워스라는 개발자가 만든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다. 한 때는 트위터 공식 홈페이지에 이어 가장 많은 접속률을 보였던 트위터 애플리케이으로 (트위터 공식 55%, 트윗덱 19.7%) 트윗덱은 지속적으로 점유율을 높여갔다. 그리고 2011년 말 이를 견제한 트위터가 4~5천만 달러라는 거액에 인수했다. (트윗덱은 트위터에 인수된 뒤 TweetDeck by Twitter라는 트위터의 한 부문으로 새로 출시되었다)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란?(Third Party Application)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를 공개한 트위터 프로그램을 제3자(개인 혹은 기업)가 자유롭게 수정한 애플리케이션(앱·응용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모바일 전용 트위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수백 개가 넘는다.)

▲ 트윗덱은 타임라인, 맨션, 리스트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 트윗덱으로 리스트를 구독하는 모습
3. 트윗덱(Tweet Deck) 100% 활용하기
1) 트윗덱에 칼럼(Coulmn) 추가하기
처음 트윗덱에 가입하고 로그인하면 [1. 타임라인], [2. 반응(Interaction)], [3. 다이렉트 메시지(쪽지)], [4. 활동(Activity)] 이렇게 총 4개의 [칼럼]이(Coulmn) 생긴다. 추가적으로 칼럼을 만들고 싶으면 좌측의 + 아이콘을 누르면 된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신이 만든 리스트, 타임라인, 쪽지, 친구들의 반응, 검색어, 등 추가하고자하는 [칼럼]을 선택할 수 있다.

▲ 트윗덱에 처음 로그인한 모습

▲ 트윗덱에 [칼럼]을 추가하는 방법
2) 리스트에 @트위터계정 추가하기
트윗덱의 최대 강점은 리스트 관리가 쉽다는 점이다. 트윗덱 안에서는 자신이 만든 리스트를 한눈에 보기도 쉽고 리스트 안에 추가한 사용자(members)를 관리하기도 쉽다.
리스트에 사용자를 추가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 아래 그림처럼 리스트에 추가하려는 트윗아이디를 누른다.
- 리스트에 추가(add or remove from lists…) 버튼을 누른다.
- 리스트를 선택한다. (없으면 Create List로 만들자)
- 리스트에 속한 사람의 트윗이 잘 보이는지 추가시킨 칼럼에서 확인하자. (필자의 경우 @leesanghoC 를 “좋아하는 언론사” 리스트에 추가시켰고, “좋아하는 언론사”[칼럼]을 만들었다)
- [칼럼] 설정에 있는 [Edit list]를 누르면 리스트에 있는 사람들을 관리하기 쉽다.

▲ 리스트에 @트위터계정을 추가하는 방법
3) 트윗덱을 맞춤형 검색 엔진으로 활용하기
트위터의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검색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가 있는 트윗을 찾아주는데 어떤 ‘이슈’와 관련한 실시간 반응을 볼 때 매우 유용하다. 트윗덱에서는 좌측의 돋보기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를 입력하면 실시간 결과가 나타나고 원한다면 [칼럼]에 추가시킬 수 있다. [칼럼]맨 위에 보면 필터 기능이 있는데 [검색 칼럼]의 경우 몇 회 이상 리트윗, 즐겨찾기 된 트윗, 특정인의 트윗만 보기와 같이 세부적인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필터를 설정했을 때의 장점은 정보를 여러 번 걸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정보들은 실시간으로 나에게 전달된다. 트위터가 실시간 정보를 낚아주는 맞춤형 검색엔진으로 변모한 순간이다.

▲ 어떤 ‘이슈’와 관련하여 날 것 그대로의 의견(트윗)을 알아보고 싶다면 ‘트윗 검색’을 추천한다
3) 알람 기능
정보를 놓치기 싫은 [칼럼]이 있다면 트윗덱 알람 기능을 켜놓으면 좋다. 필터에 있는 ‘알람 기능’을 켜놓으면 해당 [칼럼]에 새로운 트윗이 올라왔을 때, 소리가 울리기 때문에 다른 일을 보면서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 모니터링할 때 유용한 알람 기능
4) 여러 개의 계정 관리
여러 개의 트위터 계정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트윗덱 사용은 필수이다. 트윗덱은 계정 추가에 제한이 없으며, 원한다면 동시에 모든 계정에서 혹은 원하는 계정에서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 여러 계정의 타임라인, 리스트, 반응, 메시지를 [칼럼]으로 만들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글(트윗)을 여러 개의 계정에서 리트윗(RT)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barugi와 @Sunrise_Day계정의 타임라인을 둘 다 칼럼으로 만들고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좋은 내용의 글을(트윗을) 발견했으면 동시에 @dbarugi와 @ Sunrise_Day계정으로 리트윗(RT)할 수 있다는 말이다.

▲ 여러 개의 트위터 계정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트윗덱 사용은 필수이다

▲ 국정원 직원도 즐겨 사용하는 트윗덱 / 출처: 뉴스타파 국정원 개혁은 어디로? (2013.9.6)
5) 예약 트윗 보내기
기왕에 트윗을 업로드 시킬 것이면 사람들이 많이 보는 점심시간이나, 퇴근 시간 전, 잠자기 전과 같은 시간에 올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 또 폭풍 트윗으로 친구들의 타임라인을 도배하는 것보다 분산시켜서 보내는 것이 더 효과적일 테니 트위터에 정보 공유를 많이 하는 사람이라면 트윗덱을 사용해볼 만하다.
트위터 웹(http://twitter.com)에는 예약 트윗 기능이 없지만 트윗덱에는 예약 트윗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트윗 작성(New Tweet)을 누르고 하단에 보이는 ‘Schedule Tweet’ 을 누르면 업로드하기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 트윗덱의 예약 기능과 여러개의 계정에서 글을 발송하는 모습
"저는 트윗덱TweetDeck을 실시간 스트림으로 실행시켜 화면 아래로 계속 홀러가게 합니다. 트위터 시용자 2억 명 중 겨우 2만 명만 필로잉하기 때문에 미시시피강 대신 작은 개울물이 흐르는 수준이죠. 그런데도 디들 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또 흥미로운 내용을 찾이서 친구들과 공유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어요. 우리에겐 이 끊임없는 정보의 흐름을 처리할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때 대책이란 일부 자포자기한 네티즌처럼 인터넷을 끊고 세상을 등진 채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